신경학적 손상은 병원 내 심정지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증가된 두개내압, 대뇌 허혈, 재관류 손상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약간의 뇌기능 장애는 심정지 후 살아남은 환자의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심혈관 최정화, 환기 및 산소 공급, 관상동맥 혈관재생술 및 표적 체온 관리(TTM), 발작 및 혈당 조절로 구성된 프로토콜화된 심정지 후관리는 생존 및 신경학적 결과에 도움이 된다. Hemodynamic 혈역학적 불안정성은 심정지 후 흔히 발생하며 심근 기능장애, 혈관 마비 및 부정맥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젖산 수치, 소변량(>0.5ml/kg/hr), 평균 동맥압(MBP>65mmHg)을 유지해야 하며, 혈압을 높게 보거나 낮게 보는 것은 뇌와 심근 손상에 대한 검사결과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