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

[의학]Respiratory Drive_병태생리학, 메커니즘, asthma, COPD

호흡은 호흡근육과 뇌의 제어센터의 작용에 크게 의존한다. 폐의 주요 기능은 흡입된 공기와 순환계 사이의 가스교환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는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몸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산소는 세포 수준에서 적절한 신진대사에 중요한 반면, 이산화탄소는 적절한 pH수준을 달성하는데 중요하다. 각 호흡주기는 들숨으로 시작하여 날숨으로 끝난다. 흡기동안 횡격막과 외부 늑간근이 수축하여 흉강이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흉막 내압이 감소하고 폐포압력도 감소하여 강제로 폐가 확장되고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호기는 폐의 탄성으로 인해 횡격막이 이완될 때 수동적으로 발생한다. 메커니즘 내인성 respiratory Drive 호흡중추는 뇌에서 3개의 별개의 신경그룹으로 구성된다. 등 쪽 호흡 그룹은 ..

카테고리 없음 2023.06.19

[의학]Non invasive Ventilation

성인에서 저산소혈증은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에서 PaO2 80mmHg 미만인 것으로 정의된다. 환자가 저산소증이 될 수 있는 이유로는 저 환기, V/Q불일치, 션트, 빈맥, 부정맥, 호흡곤란, 빈호흡 등이 있다. HFNC와 같은 고유량장치를 사용하면 100% O2와 실내공기를 혼합하여 원하는 FiO2로 가스를 충분히 높은 유량(최대 60L/min)으로 생성하여 실내 공기와의 희석을 방지하고 가열된 가습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높은 유량은 생리적 사강의 유실, 호흡수 감소, 일회 호흡량 증가, 호기말 용적 증가, 약간의 호기말 양압을 제공한다. 환자가 생리학적으로 환기하는 것보다 더 큰 공기량을 전달하고 기본적으로 인두 사강을 씻어내어 CO2가 산소로 대체되도록 하여 환자에게 산소 공급을 개선한다. 한편 ..

카테고리 없음 2023.06.11

[의학]Adrenal Insufficiency 부신피신기능저하증: 종류, 진단, 증상, 치료

신장 위에 위치한 부신은 생존에 필수적이다. 피질의 외부 영역은 알도스테론 같은 코르티코이드 분비, 코티솔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안드로겐,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러한 호르몬의 결핍을 부신 기능 부전이라고 한다. 부신 기능 부전은 가벼운 비특이 증상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쇼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로 나타날 수 있다. 부신기능부전은 1855년 THomas Addiso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부신 피질의 파괴로 인한 일차성 또는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한 이차/삼차일 수 있는 부신의 부적절한 호르몬 생성을 특징으로 한다. 부신의 파괴 또는 자극 부족으로 인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및 부신 안드로겐의 생산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비교적 드물지..

카테고리 없음 2023.05.21

[의학] Deep Vein Thrombosis Prophylaxis: 정의, 예방, 금기

입원 환자는 지역 사회의 환자와 비교할 때 VTE 위험이 높다. 따라서 모든 입원 환자에서 DVT 예방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DVT는 폐색전증의 위험을 50%까지 증가시키고 또한 혈전 후 증후군을 유발할수 이써, VTE 및 출혈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전체 병력 및 신체 검사가 필요하다정의심부 정맥 혈전증(DVT)은 심부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거나 존재하는 것이다. DVT는 대부분 하지에서 발생하며, 상지에서는 덜 발생한다. 폐색전증(PE)은 혈전(때때로 지방이나 공기로 인해)에 의해 폐동맥 또는 그 가지가 막히는 것이다. 폐동맥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혈전의 원인은 다리의 심부정맥으로부터의 색전술이다. Deep vein_하지 Common femoral vein Deep femoral vein Su..

카테고리 없음 2023.05.16

[의학] Metabolic alkalosis: 대사성 알칼리증 발생기전, 병인, 관리

대사성 알칼리증은 특히 입원환자에서 광범위한 산-염기 장애이다. 적응성 저호흡으로 인한 pCO2의 보상적 증가와 함께 혈청 중탄산염 및 동맥 pH의 일차적인 상승을 특징으로 한다. 산의 손실은 위장관이나 신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과잉 알칼리는 경구 또는 비경구적 알칼리 섭취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중증 대사성 알칼리증(동맥혈 pH 7.55 이상)은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발생 기전 대사성 알칼리증의 생성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공급원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HCO3-축적으로 인해 발생한다. 외인성 섭취 가능한 Na+및 K+알칼리 염의 예로는 베이킹소다, 구연산염 등이 있다. 구연산나트륨은 절혈 또는 신선동결혈장(FFP)에 항응고제로 첨가되며 고용량 혈장교환 치료환자와 같이 다량..

카테고리 없음 2023.04.26

[의학]Torsades de pointes(TdP): QTc prolonged drug_loperamide

Torsades de pointes(TdP)는 심전도에서 교정된 QT간격의 연장과 관련된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이다. 널리 사용되는 항생제, 항우울제, 심혈관 약물 및 기타 여러 약물을 포함하여 100개 이상의 약물이 QTc간격 연장 및 TdP을 유발할 수 있다. TdP의 위험인자에는 QTc 간격>500ms, 치료 전 값보다 QTc간격>60ms 증가, 고령, 여성, 급성 심근경색, 박출률 감소 심부전, 저칼륨 혈증, 저 마그네슘혈증, 저칼슘혈증, 서맥, 이뇨제 및 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한 QTc간격 연장 약물의 혈장 농도 상승, 신장 질환 환자의 신장 제거 약물의 부적절한 용량 조절 및 신속한 정맥 투여가 있다. TdP위험이 가장 높은 약동학적 약물상용작용에는 항진균제,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및 아미오다론,..

카테고리 없음 2023.04.19

[의학] Plasmapheresis 혈장분리반출술_정의 ,적응증

Plasmapheresis 혈장분리반출술 Plasmapheresis는 특히 큰 단백질 입자를 제거하여 혈액의 유변학적 특징을 개선한다. 혈장분리반출술은 미세순환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축적된 대사 부산물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plasmapheresis는 AMD(연령 관련 황반 변성), 돌발성 청력상실, 미세 혈관 병증 및 기타 미세 순환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수동 혈장분리반출술은 1914년 동물실험에서 처음 기술되었으며 다발성 골수종의 고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1952년 처음으로 치료에 사용되었다. 폐 및 신장물질, 후천적 TTP에서 원하지 않는 물질의 제거 및 대체에 주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병원체 제거에 사용되며 5% 알부민을 사용하여 지용성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을 제한시키기도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3.04.12

[의학]당뇨병성 신증: 병태생리학, 치료, 식이

당뇨병성 신증(DN)은 당뇨병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말기 신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당뇨병 환자의 30%가 DN의 영향을 받고 있다. 신장 및 심혈관 위험은 DN환자에게 가장 큰 위험으로 당뇨병 환자의 미세알부민뇨는 DN의 진행과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신장 및 심혈관질환의 발생 감소, 소변 알부민 배설 증가를 예방하는 것이 DN의 중요한 치료 목표이다. 병태생리학 병리학적 기전에서 RASS활성화, AGE축적 및 EMT는 염증, 세포스트레스, 세포사멸에 관여한다. 당뇨병성 신증은 신장세포에서 레닌 안지오텐신 알도스테론 시스템의 활성화, 당화최종 생성물의 축적을 통해 염증, 세포사멸, autophagt에 관여한다. RASS시스템은 혈관 수축, 알도스테론 분비, 심근 ..

카테고리 없음 2023.04.04

[의학]의원성 아편 금단증후군(IOWS): Opioid Withdrawal Syndrome

외래환자 아편 처방과 그에 따른 성인의 중독 및 금단증상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반면, 중환자실 입원 중 아편 사용은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기계환기가 있는 중환자의 경우 통증과 불안감을 관리하기 위해 종종 아편유사제가 필요하다. 이 약물의 갑작스러운 중단은 불안, 과민성, 빈맥 및 빈호흡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의원성 아편금단증후군(IOWS) 또한 중요한 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Opiod 금단 증후군은 opiod 의존으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이다. opiod는 심한 통증을 중재하는 데 사용되며 모르핀, 헤로인, 옥시콘틴, 코데인, 메타돈 및 하이드로모르폰을 포함한다. 이는 정신이완 및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나 만성 아편유사제 사용은 잠재적으로 무력화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기에 환자에 대한..

카테고리 없음 2023.04.01

[의학] CIRCI: Critical Illness related Corticosteroid Insufficiency_부신 피질 부전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부적절하고 둔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반응을 나타내는 중환자 관련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부전, 즉 CIRCI는 중환자의 약 30~70%에서 발생하며 패혈증 환자의 경우 77%까지 증가한다. 급성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축과 관련된 질병으로 올 수 있으며 하이드로코르티손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생명을 위협하는 부신 위기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hydrocortisone의 스트레스 투여량은 부신기능 부전이 없는 경우에서 패혈성 쇼크를 앓고 있는 환자의 승압제 필요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주로 순환 cortisol결합 단백질 억제 및 간/신장 cortisol 대사 억제에 의해 야기되는 전신 glucocorticoid 증가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음성 피드..

카테고리 없음 20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