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의학]욕창이란_욕창 예방, 영양 관리

해맑음 only one 2023. 2. 9. 18:36

 욕창이란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주로 뼈의 돌출부에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생긴 궤양이다. 압박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조직이 죽어 발생각 궤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욕창은 계속해서 개인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국가적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욕창의 유병률은 그게 변하지 않은 반면 관련 치료비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양은 욕창(Pressure Injury)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체조직의 성장, 발달, 유지 및 복구를 촉진하기 위해 일정 양의 영양소가 필요하다. 

 

 Malnutrition 영양실조

 영양실조는 영양결핍, 비만, 비정상적인 미량영양소 양을 포함하는 여러 장애를 수반한다. 개인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영양 관련 장애로는 허약감, 근감소증, 악액질 등이 있다. 영양실조로 변화된 신체구성(감소된 지방질량)과 체세포 질량은 신체 및 정신적 기능 저하와 질병으로 이어진다. 유럽 학회에서는 영양실조를 '섭취 또는 흡수 부족상태'로 정의하며 Undernutrion과 Overnutrition으로 나눌 수 있다.

 

 Undernutrion(영양결핍은) 칼로리, 단백질, 비타민과 미네랄 섭취 감소는 영양실조 대상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이는 계획되지 않은 체중 감소,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 BMI감소, 근육량 감소 및 탈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PI와 관련 있다.

 Overnutrition/Obesity (영양과다/비만)는 섭취하는 영양소의 양이 성장, 발달 및 신진대사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의 양을 초과하는 영양실조의 한 형태이다. 영양과다는 과체중 및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피부감염, 열개, 욕창, 정맥궤양과 같은 동반질환이 흔하게 나타난다. 이는 피하지방 조직의 저관류 및 허혈 때문에 발생되기 때문이다. 비만과 극도로 비만인 대상자와 관련된 이동 감소는 욕창발생 위험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더불어 미생물이 피부 주름에 의해 생성된 습한 환경 내에서 감염 및 조직 손상에 기여하기도 한다.

 

 칼로리와 체내단백질

 적절한 칼로리를 섭취함으로써 콜라겐과 질소합성을 증가시켜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탄수화물과 지방의 에너지가 개인의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면 간과 신장이 단백질과 같은 비탄수화물 공급원에서 포도당을 합성하게 되는데 체내 단백질의 분해는 상처 치유가 더뎌질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최적의 칼로리 요구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없지만 kg 당 30kcal 이상을 섭취하였을 때 욕창치유가 증가하였으며 20kcal 이하를 섭취하였을 때 치유가 더디거나 악화되었다.

 

 Fluid/물

성인의 몸은 60%가 물이며 세포내, 간질 및 혈관 내에 분포한다. 영양분을 세포로 이동시키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운반 매개체 역할을 하는데 물은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포도당 및 기타 작은 분자의 용매로, 세포 안팎으로 확산될 수 있다. 현재 욕창대상자에게 적절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이때 욕창, 배액상처, 구토, 설사, 고체온, 발한이 있는 사람은 손실된 체액을 보충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령자는 일반적으로 체지방이 증가하기 때문에 신체가 저장할 수 있는 수분의 비율이 감소하여 탈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