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해맑음

  • 홈

뇌종양 1

[의학]뇌종양 중 가장 많은 교모세포종, 항암면역치료란?: 치료 방법, 생존률 낮은 이유

뇌종양은 뇌 내에서 발생하거나 다른 원발부위에서 퍼진 암세포에서 전이되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유형으로는 glioblastoma(교모세포종; 성인 원발성 뇌 악성종양의 50%)과 뇌 전이(흑색종, 폐암, 유방암)이 있다. 수술외에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세포독성요법도 치료로 사용되지만 2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 예로 glioblastoma는 수술, 방사선 화학요법, 보조 화학요법 등의 치료에도 2년생존율이 약 43%에 불과하다. 종양미세 환경(TME) 그 이유로는 다른 조직과 다른 종양미세환경(TME)때문이다. 암조직은 오직 암세포만으로 이루어져있는 것이 아닌 암세포의 생존을 위해 다른 세포들도 함께 존재하게 된다. 이들로 인해 항암효과가 감소되고 암세포가 성장하게 된다. 즉 종양미세환경은..

카테고리 없음 2023.02.06
이전
1
다음
프로필사진

언제나 해맑음

간호학, 의학, 질병, 의학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