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해맑음

  • 홈

대사성 알칼리증 병인 1

[의학] Metabolic alkalosis: 대사성 알칼리증 발생기전, 병인, 관리

대사성 알칼리증은 특히 입원환자에서 광범위한 산-염기 장애이다. 적응성 저호흡으로 인한 pCO2의 보상적 증가와 함께 혈청 중탄산염 및 동맥 pH의 일차적인 상승을 특징으로 한다. 산의 손실은 위장관이나 신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과잉 알칼리는 경구 또는 비경구적 알칼리 섭취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중증 대사성 알칼리증(동맥혈 pH 7.55 이상)은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발생 기전 대사성 알칼리증의 생성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공급원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HCO3-축적으로 인해 발생한다. 외인성 섭취 가능한 Na+및 K+알칼리 염의 예로는 베이킹소다, 구연산염 등이 있다. 구연산나트륨은 절혈 또는 신선동결혈장(FFP)에 항응고제로 첨가되며 고용량 혈장교환 치료환자와 같이 다량..

카테고리 없음 2023.04.26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언제나 해맑음

간호학, 의학, 질병, 의학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